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부귀란 등록품종 해설 호물(縞物) 편 - 네번째

본문

반응형

 

부귀란 등록품종 해설
호물(縞物) 편
- 네번째 -

 

부귀란 등록품종 해설 호물(縞物)
부귀란 등록품종 해설 호물(縞物) 편 - 네번째

이 글은 일본 정란사의 대표였던 호리우치 카즈히로 씨가 집필한 「부귀란 사전 - 315종의 특징과 즐기는 방법」(2008, 일본부귀란연구회 출판)을 일본부귀란연구회의 도움으로 풍란에 대한 이해에 도움이 될 수 있게 번역한 것이다.

글의 저자인 호리우치 카즈히로 씨는 1945년 고베 출생으로 부귀란, 장생란, 동양란 등의 고전 원예식물을 기르며 수많은 저서를 남겨 일본의 부귀란 문화를 집대성하였다.

코로나 펜데믹 이후 풍란이 다시금 주목받기 시작한 국내의 분위기를 반영, 풍란의 문화 및 재배방법을 더 많은 독자들과 함께 나누고자 한다.

참고로 일본에서는 풍란을 부귀란이라 부르기도 하는데, 일본부귀란회에 등록된 품종을 통칭하는 것이다.

네번째로 호물(縞物)의 품종들을 소개한다.

 

『청왕금(靑王錦)』
『청왕금(靑王錦)』
『청왕복륜』
『청왕복륜』

『청왕금(靑王錦)』

소개 : 중형의 품종으로, 전형적인 희엽에 깔끔한 인상을 주는 귀품이다.
산지는 현재의 일본 와카야마현이다.
옛날 해설서에는 『기주청왕』으로부터 변화한 것이라고 기술되어 있지만 현재는 그 『기주청왕』이라는 품종과는 별도의 독립된 품종으로 분류하고 있다.

: 잎은 중형으로 폭이 넓고 광택이 좋다.
무늬는 맹황색으로 나와 잎이 자라남에 따라 황색이 되는 다소 후발성인 품종이다.
무늬가 들어가는 과정에서 운을 띄운다(무늬가 명료하지 않고 일시적으로 호반처럼 보이는 상태).
본종이 복륜으로 변화한 것을 『청왕복륜』이라고 부르는데 산뜻한 복륜으로 인기가 높다.

축과 뿌리 : 청축, 청근으로, 붙음매는 월형이다.

『태양전(太陽殿)』
『태양전(太陽殿)』

『태양전(太陽殿)』

소개 : 엽육이 얇고, 잎의 겹침이 느슨한 희엽이다.
전체적으로 여성적이며 우아한 분위기를 풍긴다.
산지는 현재의 일본 와카야마현으로 과거의 해설서에서는 『청왕금』으로부터 변화한 것이라고 기술되어 있다.
그러나 잎의 모습 등이 전혀 다르게 보이기 때문에 위와 같은 기술에 대해 이론을 제기하는 사람들이 많다.
하지만 무늬의 색상이 변화함에 따라 잎의 형태가 변화하는 것은 다른 식물들에게서도 종종 있는 일이므로 과거의 기록들을 모두 부정할 수만은 없을 것이다.

: 잎의 길이에 비해 엽폭이 좁고, 그 잎에 옅은 황색의 호가 들어간다.
잎의 감성도 옅어 무늬와의 대비가 좋지 않다.
그러나 입문품종으로는 인기가 높다.

축과 뿌리 : 청축, 청근으로, 붙음매는 월형이다.

『보금(寶錦)』
『보금(寶錦)』
『금두』
『금두』
『보복륜』
『보복륜』

『보금(寶錦)』

소개 : 엽육이 두텁고, 잎끝까지 힘이 있는 모습이 당당하고 힘차게 느껴진다.

잎 : 잎폭이 넓고, 윤기 있는 잎의 감성이 강하다.
무늬는 다소 후발성으로 처음 잎이 나올 때는 맹황색으로 나와 시간이 지남에 따라 황색으로 선명해진다.
오래된 잎일수록 무늬는 황색보다는 백황색, 백색에 가까워진다.
이따금 『금두』와 혼동되곤 하지만 둘을 나란히 놓고 비교하면 잎의 형태나 무늬의 색상의 확연한 차이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기르는 장소나 차이에 따라서 또, 아직까지 본예가 보이지 않는 어린 개체의 경우에는 두 품종을 구분하기 어려운 것도 사실이다.
본종이 복륜으로 변화한 것을 『보복륜』이라고 하며, 무늬가 또렷한 복륜으로 인기가 많다.

축과 뿌리 : 니축에 니근으로. 붙음매는 월형이다.

『옥천금(玉川錦)』
『옥천금(玉川錦)』
『옥천』
『옥천』
『나인지광』
『나인지광』

『옥천금(玉川錦)』

소개 : 날렵한 느낌을 주는 입엽으로, 극황색의 호가 특징이다.
산지는 미상이다.
과거의 해설서에 따르면 이접 무늬의 『옥천』이 백색 호로 변화한 것이라고 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의 『옥천금』은 당시 해설서에 기술된 것과는 다른 품종으로, 일시적으로 『나인지광』에 포함되어 있던 세엽의 황호 품종을 독립적으로 구분한 것이다.
현재의 『옥천금』과 가까운 예를 가진 품종을 찾아보면 『금칠보』나 『금사세』 두 종류를 꼽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이 두 품종 모두 현재는 더 이상 볼 수 없다고 해설되어 있다.

: 잎폭은 좁고 엽육은 두텁다.
입엽으로 잎의 끝이 뾰족하다.
무늬는 다소 후발성으로 자라남에 따라 선명한 극황색의 호가 된다.

축과 뿌리 : 니축에 니근으로, 붙음매는 월형이다.

『천대전사자(千代田獅子)』
『천대전사자(千代田獅子)』

『천대전사자(千代田獅子)』

소개 : 무지의 광엽(狂葉) 품종인 『낭화사자』로부터 돌연변이로 출현한 품종이다.
처음으로 주목받기 시작한 것은 1980년대 일본부귀란회 대회장에서 나고야의 취미가가 본 품종을 전시하기 시작하면서 부터이다.
그 후 본 개체가 전 일본부귀란회 회장의 난실로 옮겨져 증식되었고, 그것이 또다시 일본 하마마츠의 애호가에게 양도되어 그가 집중적으로 증식에 힘을 쓴 덕택에 1992년도에 등록될 수 있었다.
등록될 당시에도 단지 8분에 불과했던 희귀한 품종이다.

: 모종과 동일하여 두터운 광엽이다.
선천적으로 백황색의 산반호가 들어간다.

축과 뿌리 : 니축에 니근으로, 붙음매는 기본적으로 월형이다.

 

#부귀란등록품종 #부귀란 #호물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