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부귀란 등록품종 해설 호물(縞物) 편 - 두번째

본문

728x90
728x170

 

부귀란 등록품종 해설
호물(縞物) 편
- 두번째 -

 

부귀란 등록품종 해설 호물(縞物) 편 - 두번째
부귀란 등록품종 해설 호물(縞物) 편 - 두번째

이 글은 일본 정란사의 대표였던 호리우치 카즈히로 씨가 집필한 「부귀란 사전 - 315종의 특징과 즐기는 방법」(2008, 일본부귀란연구회 출판)을 일본부귀란연구회의 도움으로 풍란에 대한 이해에 도움이 될 수 있게 번역한 것이다.

글의 저자인 호리우치 카즈히로 씨는 1945년 고베 출생으로 부귀란, 장생란, 동양란 등의 고전 원예식물을 기르며 수많은 저서를 남겨 일본의 부귀란 문화를 집대성하였다.

코로나 펜데믹 이후 풍란이 다시금 주목받기 시작한 국내의 분위기를 반영, 풍란의 문화 및 재배방법을 더 많은 독자들과 함께 나누고자 한다.

참고로 일본에서는 풍란을 부귀란이라 부르기도 하는데, 일본부귀란회에 등록된 품종을 통칭하는 것이다.

그 두 번째로 호물(縞物)의 품종들을 소개한다.

 

『금두(金兜)』
『금두(金兜)』
(좌) 『금갑복륜』 , (우) 『보금』

『금두(金兜)』

소개 : 직도형의 잎에 단정한 중형의 품종이다.
이세노쿠니(伊勢國, 현재의 일본 미에현) 출신으로 복륜이 된 것을 『금갑복륜』이라고 한다.
같은 호물인 『보금』과 혼동되곤 하지만, 『보금』의 무늬는 가을이 되면 유백색에 가까워지고 『금두』처럼 극황색이 되지는 않는다.
그밖에도 잎의 형태가 희엽이라는 것과 잎에 광택이 흐르는 특징으로 『금두』를 구분할 수 있다.

잎 : 두꺼운 잎에 다소 후발성의 황호가 들어간다.
무늬는 신아에도 분명히 들어가지만 처음에는 맹황색으로 나와 이후 극황색이 된다.
가을에는 특히 황색이 더욱 선명해져 부귀란 중 으뜸이라고 한다.
잎살이 두껍고 매끄럽다.

축·뿌리 : 니축에 뿌리 끝의 색이 옅은 니근이다. 붙음매는 월형이다.

『금기린(錦麒麟)』
『금기린(錦麒麟)』
『기린환』

『금기린(錦麒麟)』

소개 : 『옥금강』, 『정지송』과 더불어 무지 두엽 품종의 대표주자인 『기린환』에 줄무늬가 나타난 것이다.
일본 시코쿠의 한 난초 재배장에서 『기린환』을 재배하던 중 신아 하나에서 줄무늬가 나와 그 하나를 별도로 증식하였고 무늬의 연속성이 확인되어 등록될 수 있었다(1998년).
보통 난을 재배하던 도중 깜짝 줄무늬가 나왔다는 소식은 종종 들어볼 수 있지만, 이번 경우처럼 변화종으로서 고정되는 경우는 극히 드문 일로, 그야말로 행운이라고 이야기할 수밖에 없다.
개체 수가 아직까지 매우 적고 두엽에 호가 들어간 이예품(二藝品)이기에 현재 부귀란계의 최고 인기품종이라고 할 수 있다.

잎 : 새로 나오는 잎은 맹황색으로 나와 곧장 백황색의 무늬로 자리 잡는다.
잎의 형태는 모종인 『기린환』으로부터 싹 변이한 것이기 때문에 모종과 동일한 소형의 두엽이다.
잎 겹침이 좋고, 옅은 니축에 뿌리도 옅은 니근이다.

『경하(慶賀)』
『경하(慶賀)』
『팔중의』
『팔중의』

『경하(慶賀)』

소개 : 잎살이 두껍고 허리가 낮은 볼륨감 있는 잎의 형태를 가지고 있다.
백색의 산반성호 품종으로 여타의 호물들과는 달리 유령에 가까울 정도로 화려한 개체를 최상예로 평가하고 있다.
1860년대 일본 미에현의 마츠사카성 내의 고목에서 채취되어 처음에는 『어성금』이라는 이름으로도 불리었다.
비슷한 품종으로는 『팔중의』라는 품종이 있는데 잎살의 두께와 볼륨감에서 차이가 있다.
결정적으로 뿌리의 색으로 품종을 구별할 수 있다.
『팔중의』는 니근인데 반해 『경하』는 청근이다.

잎 : 잎의 폭은 잎의 끝까지 넓게 이어진다.
최상의 무늬는 하얀 바탕에 녹색의 얼룩이 미세하게 분포한 모습이다.

축·뿌리 : 축은 얼룩이 적기는 하지만 니축이다.
보통 니축인 품종의 뿌리 끝은 니근으로 자라나지만 이 품종은 니축에 청근이라는 특징을 가진다(다만, 드물게 니근이 교차하는 경우는 있다).
붙음매는 월형이다.

『월전(月殿)』
『월전(月殿)』

『월전(月殿)』

소개 : 다소 입엽의 중형종이다.
무늬는 『조하』라는 품종과 비슷하지만 잎의 모양이나 뿌리의 색이 달라 구분하기 쉽다.
산지는 불명이다.

잎 : 잎의 폭은 다소 좁다.
황색이 선명한 산반호이지만 새로 나오는 잎이 가장 밝고 아래 잎장으로 갈수록 무늬가 어두워지는 후암성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본 종의 실생품도 있다.
무늬가 화려한 것은 후암이 늦고, 다소 작은 것은 『금화산』이라는 이름으로 유통되어 『금모단』의 대용품으로도 인기가 있었다.

축·뿌리 : 니축에 얼룩이 강한 편이다.
무늬가 화려한 부분에서는 루비근에 가까운 짙고 선명한 적근이 나오기 때문에 기르는 재미가 있다.
무늬가 수수한 부분에서는 보통의 니근이 나온다.
붙음매는 월형이다.

『금사룡(金司龍)』
『금사룡(金司龍)』
『귀보청』

『금사룡(金司龍)』

소개 : 울두엽의 『귀보청』에 황호가 들어간 품종이다.
이전의 명감에서는 중앙에 자리한 적도 있는 명품이었다.
그러나 어느 시점에 기존의 『금사룡』은 절종되어 70여 년 전의 해설서에는 ‘현재는 볼 수 없다.’고 되어 있다.
현재의 『금사룡』은 일본 시즈오카의 한 난실에서 『귀보청』을 재배하던 중 돌연변이로 싹 변이한 것이다.
과거의 품종이 100년도 더 지난 후에 재현된 것이다.
부귀란의 역사에 있어 꿈과 로망을 느낄 수 있는 품종이라 할 수 있다.
현재는 광엽의 품종이 인기가 있지만 이런 개성 있는 품종은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아직은 수가 적은 희소품종이다.

잎·축·뿌리 : 감성이 강한 울두엽에 짙은 황호가 들어간다.
엷은 잎의 품종이지만 대형종이다.
짙은 니축에 뿌리는 청근에 가까운 옅은 니근이다.
붙음매는 월형이다.

 

#부귀란등록품종 #부귀란 #호물

 

728x90
그리드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