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부귀란 등록품종 해설 복륜(覆輪) 편 - 두번째

본문

반응형

 

부귀란 등록품종 해설
복륜(覆輪) 편
- 두번째 -

 

부귀란 등록품종 해설 복륜(覆輪) 편
부귀란 등록품종 해설 복륜(覆輪) 편 - 두번째

 

이 글은 일본 정란사의 대표였던 호리우치 카즈히로 씨가 집필한 「부귀란 사전 - 315종의 특징과 즐기는 방법」(2008, 일본부귀란연구회 출판)을 일본부귀란연구회의 도움으로 풍란에 대한 이해에 도움이 될 수 있게 번역한 것이다.

글의 저자인 호리우치 카즈히로 씨는 1945년 고베 출생으로 부귀란, 장생란, 동양란 등의 고전 원예식물을 기르며 수많은 저서를 남겨 일본의 부귀란 문화를 집대성하였다.

코로나 펜데믹 이후 풍란이 다시금 주목받기 시작한 국내의 분위기를 반영, 풍란의 문화 및 재배방법을 더 많은 독자들과 함께 나누고자 한다.

참고로 일본에서는 풍란을 부귀란이라 부르기도 하는데, 일본부귀란회에 등록된 품종을 통칭하는 것이다.

두번째복륜(覆輪)의 품종들을 소개한다.

 

『경하복륜(慶賀覆輪)』
『경하복륜(慶賀覆輪)』
『경하』
『경하』

 

『경하복륜(慶賀覆輪)』

소개 : 잎의 형태는 모종인 『경하』로부터 변하지 않았다.
정연한 자태는 품격이 느껴진다.

: 백산반호인 모종이 복륜으로 변화한 것이나 아직까지 완벽한 복륜으로 자라난 개체는 본 적이 없다.
보통 복륜호와 같은 개체가 대부분이며, 자촉으로 예가 계승되기 어려워 새롭게 나온 자촉은 무늬가 좋은 『경하』인 경우가 많다.
과거의 해설서에서도 현재 본예품은 보이지 않는다고 기록되어 있다.
그렇다 보니 모종에 해당하는 『어성금』이 1866년경에 발견된 오래된 품종임에도 불구하고 상예품이 매우 적다.

축과 뿌리 : 축이 시작되는 부분이 약간 흐린 니축으로, 뿌리는 보통 청근이지만 종종 핑크근이 나오기도 한다.붙음매는 월형이다.

 


 

『검룡(劍龍)』
『미설복륜』
『미설복륜』
『백청룡』
『백청룡』

 

『검룡(劍龍)』

소개 : 『백청룡』이 복륜으로 변화한 것으로, 잎은 모종에 비해 입엽성이다.
과거에는 『미설복륜』이라고 불렸는데, 현재 일본의 나라현에서 변화하였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
명감에서 『검룡』이라는 이름이 등장한 것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의 일로, 전쟁 전까지는 『미설복륜』이라는 이름으로 불린 것으로 보인다.
확실한 연도까지는 알 수 없지만 전후에 나온 자료에 『검룡』에 대한 해설이 있는데, 여기에는 교토에 사는 이케다 씨가  이름을 지었다고 되어 있다.

: 새로운 잎이 나올 때는 백색에 녹색이 물든 무늬로 나와 설백색으로 선명해진다.
이 백색은 바탕을 이룬 짙은 감성과 대비를 이루며 부귀란 중 가장 선명하지 않나 생각한다.
한두 촉짜리가 많고 대주를 이룬 것은 보이지 않는다.
수가 적어 귀중한 품종이다.

축과 뿌리 : 니축에 니근으로, 붙음매는 월형이다.

 


 

『어성복륜(御城覆輪)』
『어성복륜(御城覆輪)』
『천혜복륜』
『천혜복륜』
『월계관』
『월계관』

 

『어성복륜(御城覆輪)』

소개 : 중형의 입엽성에 깨끗한 복륜을 가진 품종이다.
일본의 이세 마츠사카성(伊勢 松坂城)의 돌담에서 1862년경 발견된 오래된 품종이다.
당시에는 편복륜으로 『정종』이라 불렸으나 그후 완전한 복륜으로 완성되면서 『어성복륜』으로 개명되었다.
아름다운 품종이지만 그 수가 많아 입문품종이 되었다.

: 선천성의 백복륜으로 엽육이 두툼하고 잎끝이 뾰족하다.
본 종이 황복륜으로 변화하면 『천혜복륜』이 된다.
또한 천엽이 하얗게 나오다가 자라남에 따라 아랫잎으로 갈수록 황색으로 변화하고 잎도 희엽에 가깝다면 이를 『월계관』이라고 부른다.

축과 뿌리 : 축은 니축이지만 뿌리는 전부 청근으로 자라나며, 붙음매는 월형이다.

 


 

『호동금(湖東錦)』
『호동금(湖東錦)』

 

『호동금(湖東錦)』

소개 : 잎이 길고 입엽성인 대형품종이다.
오랜 기간 동안 세상에 단 한 분 밖에 존재하지 않았지만 최근에서야 증식되었다.
현재, 부귀란계에 등록되어 있는 품종들 중에서 가장 고가에 거래되고 있는 품종이다.
확실한 산지에 대한 기록은 없다.
일본 기후현의 취미가가 재배하고 있던 것(당시에는 산반호였음)이 일본 사가현의 취미가에게 옮겨졌으며, 그 사이 백색의 절입복륜으로 변화하여 『호동금』이라고 명명되었다.

: 약간 직도형의 긴 잎으로, 잎 겹침이 느슨하다.
설백의 절입복륜으로 산반호를 동반하는 복륜호이며, 무늬의 색감이 미묘하게 변화하는 것을 볼 수 있는 최고의 희귀품종이다.

축과 뿌리 : 니축에 니근이며, 붙음매는 월형이다.

 


 

『호동지검(湖東之劍)』
『호동지검(湖東之劍)』
『신호동』
『신호동』
『어검』
『어검』

 

『호동지검(湖東之劍)』

소개 : 『신호동』이 복륜으로 변화한 것으로 소형종이다.
청축의 품종인 『어검』이 니 축으로 된 것 같은 느낌이다.
예전에는 『신호동복륜』이라고 불리었으나, 『호동복륜』 이라는 다른 품종이 있어 혼동하기 쉽고, 검형의 잎의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1987년도에 『호동지검』이라는 새로운 이름으로 등록되었다.
모종의 화려한 개체를 재배하다 보면 의외로 본종이 출현하기도 한다.
새로 등록된 품종임에도 불구하고 개체 수가 많기 때문에 저렴하게 유통되고 있다.

: 백색의 대복륜에 검형이다.
백색의 무늬는 타기 쉽고, 타들어간 잎에는 검은 반점이 생겨 보기 흉한 느낌을 준다.

축과 뿌리 : 니축에 니근이지만 선명한 적근도 나온다.

 

#부귀란등록품종 #부귀란 #복륜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