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부귀란 등록품종 해설
복륜(覆輪) 편
- 첫번째 -
이 글은 일본 정란사의 대표였던 호리우치 카즈히로 씨가 집필한 「부귀란 사전 - 315종의 특징과 즐기는 방법」(2008, 일본부귀란연구회 출판)을 일본부귀란연구회의 도움으로 풍란에 대한 이해에 도움이 될 수 있게 번역한 것이다.
글의 저자인 호리우치 카즈히로 씨는 1945년 고베 출생으로 부귀란, 장생란, 동양란 등의 고전 원예식물을 기르며 수많은 저서를 남겨 일본의 부귀란 문화를 집대성하였다.
코로나 펜데믹 이후 풍란이 다시금 주목받기 시작한 국내의 분위기를 반영, 풍란의 문화 및 재배방법을 더 많은 독자들과 함께 나누고자 한다.
참고로 일본에서는 풍란을 부귀란이라 부르기도 하는데, 일본부귀란회에 등록된 품종을 통칭하는 것이다.
그 첫번째로 복륜(覆輪)의 품종들을 소개한다.
『능삼채(綾三彩)』
소개 : 잎 겹침이 좋은 희엽의 품종으로 엽육과 엽폭이 모두 좋아 상품(上品) 이라는 인상을 준다.
산지는 일본의 규슈지역이라고 알려져 있으나 여기엔 이견이 존재한다.
잎 : 잎 끝에 힘이 들어간 넓은 잎에 황백색의 산반성 복륜이 나오는 것이 본예품이다.
아직까지 예가 완전히 고정된 개체는 드물고, 신아의 무늬는 산반성 호에 머무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러나 모촉의 영향으로, 자촉은 자라남에 따라 무늬가 복륜으로 이행하는 경향을 보이기는 한다.
산지에 대해서 일부에서는 실생품종인 『청축부악』이 복륜으로 된 것이라고 보는 견해가 있다.
필자는 차이점이 있다고 하더라도 자세나 형태, 특징 등이 같다면 같은 이름으로 부르는 것도 좋다고 생각한다.
축과 뿌리 : 청축, 청근이며 붙음매는 월형이다.
『직희복륜(織姬覆輪)』
소개 : 모종인 『직희』와 마찬가지로 희엽의 부드러운 분위기를 가지고 있다.
기록에 의하면 최초에는 일본의 나라지방에서 모종으로부터 변화한 복륜을 『직희복륜』이라고 명명했다고 전해진다.
그러나 무늬의 연속성이 나쁘기 때문에 대부분의 경우에는 모종인 직희로부터 싹변이한 개체들이 직희복륜으로 유통되고 있다.
각지에서 『직희』로부터 변이된 사례들을 보게 되는데 대부분이 일회성 변화로 생각된다.
잎 : 백황색의 복륜으로, 무늬 속에 녹이 가느다랗게 산반하는 것으로 보이지만 복륜으로 완벽하게 거듭날수록 녹이 흩어지지 않는다.
산반복륜의 형태는 고정성이 약하기 때문에 의외로 모종으로 돌아가기 쉽다.
축과 뿌리 : 청축 청근으로 붙음매는 월형이다.
『금각(金閣)』
소개 : 엽육이 두꺼운 중소형의 품종으로 『금성복륜』이라는 이름으로 소개된 적이 있지만 일본 시코쿠의 카가와현 쇼도시마 산의 야생종인 것이 확인되면서 현재의 『금각』이라는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2003년도 일본부귀란회 신등록품으로 잎의 자태가 좋고 개체수가 적은 인기있는 희소품이다.
잎 : 황색의 대복륜이지만 이 무늬의 색상이 사계절에 따라, 그리고 재배하는 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한다.
천엽의 색상도 맹황색으로 나온 후 극황색으로 발색되는가 하면, 하얗게 나온 후에는 오렌지색을 띠기도 하는 등 변화를 즐길 수 있어 매력적이다.
엽육이 두텁고 잎 간격도 일정해 중형의 복륜종을 대표하는 귀품이라고 할 수 있다.
축과 뿌리 : 니근이기는 하지만 무늬의 부분에서 나오는 뿌리 끝은 루비근으로 나오기 때문에 매력적이다. 붙음매는 월형이다.
『금갑복륜(金甲覆輪)』
소개 : 모종인 『금두』는 직도엽에 잎은 다소 평평한 느낌이지만, 이것이 복륜으로 완성되면서 다소 희엽성의 자태를 가지게 되었다.
기록에 따르면 일본의 미에현에서 변화하였다고 전해진다.
그러나 본종에서 증식된 것은 없고, 호에서 변화한 복륜이므로, 각지에서 재배 중에 모종으로부터 종종 출현한다.
대복륜이기 때문에 신아는 유령으로 나와 감색이 중통하면서 복륜으로 완성된다.
호에서 변화한 복륜종 중에서는 의외로 고정성이 높아 여러 촉의 대주를 볼 수 있다.
잎 : 윤기있는 후육성의 잎이 완만하게 휘어지는 희엽이다.
잎은 처음에 맹황색으로 나와 자라남에 따라 황색으로 밝어져 극황색이 된다.
축과 뿌리 : 니축, 니근으로 붙음매는 월형이다.
『은세계(銀世界)』
소개 : 곧게 서있는 직선적인 모습이 독특한 분위기를 자아낸다.
모종인 『서출도』보다 소형으로 잎끝이 둥글며 입엽이 강할수록 안쪽으로 휘어진다.
완전히 고정된 개체가 많지 않아 귀중하다. 변화 과정에서 『서출도』와 『은세계』의 중간형도 당연히 존재하는데 모종이 조금 입엽으로 변화한 된 것도 『은세계』로 유통되기도 한다.
그렇기 때문에 변이종은 구매하려는 사람이 자신의 안목을 넓혀 변이의 경계선을 자기 스스로 판단해야 할 것이다.
잎 : 절입복륜으로 일컬어지는 백복륜으로 그 무늬의 바깥쪽에서 녹색이 끊어진다.
모종에 비해 일반적으로 잎이 두텁고 끝이 둥글다.
축과 뿌리 : 니축 니근으로 붙음매는 일문자형과 얕은 월형이다.
#부귀란등록품종 #부귀란 #복륜
반응형
'난(蘭)관련 > 풍란,새우란,한란 등등 기타 난초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귀란 등록품종 해설 복륜(覆輪) 편 - 두번째 (0) | 2025.01.24 |
---|---|
제3회 박병옥 한란전 감상 - 한란 전시회 감상 (2) | 2024.12.27 |
제39회 서울란회 한란 전시회 감상 - 한란 전시회 감상 (2) | 2024.12.25 |
제10회 한국한란회전 감상 - 한란 전시회 감상 (1) | 2024.12.21 |
제6회 심학산난촌 한국한란 전시회 감상 - 한국한란 전시회 감상 (3) | 2024.12.01 |